루돌프·브후빙다ー의 이번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회 참석률을 되돌아보면 딱 절반이었다.백·곤우과 김·성욱 등 개근에 가까웠다 다른 연주자들의 이전 사이클에 비하면 확실히 낮은 것이 사실이다.어쩌면 마음 속의 관심이 그대로 반영된 것인지도 모른다.그렇게 생각하면 까닭 없이 움찔했다.집중력과 표현력, 깊이와 긴장감까지 참가 기준으로는 소나타 30~32번을 들려준 마지막 날에 정점에 다다른 듯했다.한곡씩 연주를 마칠 때마다 박수에 가볍게 답례는 했지만” 느슨한 연작”처럼 입·퇴장하지 않고 바로 다음 곡으로 이어졌다.덕분에 주제와 변주라는 베토벤 후기 곡의 특징도 더욱 뚜렷해졌다.
![]()
마지막 32번 제2악장의 절정 이외는 대체로 질주 본능을 절제한 편이었지만 마침 60여분 3곡을 모두 끝냈다.감추지 못하는 베토벤의 스프린터랄까.연주를 마친 뒤 마이크를 잡고 한국 청중에게 “가족 같다”와 감사를 표한 뒤 슈베르트 즉흥곡을 앙코르에서 선 보였다.첫눈에 반한 것은 아니지만 조금씩 친해지다 보면 어느새 떨어지기 어려워진 경우도 있다.개인적으로는 브후빙다ー의 베토벤이 그런 경우였다.내년은 보다 짧은 굵은 베토벤 협주곡 전곡 사이클도 예정되어 있다.제발 그 때까지 건강하소서.#루돌프·붓후 빈다
![]()




![]()



